-
코드 품질과 유지보수성c++ 2025. 3. 2. 19:13728x90
제품 수준(Product-Level) C++ 코딩: 코드 품질과 유지보수성
소프트웨어 제품 개발에서는 코드 품질과 유지보수성이 매우 중요하다. 개인 프로젝트에서는 단순히 동작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목표일 수 있지만, 제품 수준의 C++ 코딩에서는 장기적인 유지보수와 확장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코드 품질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한 핵심 원칙을 설명한다.
1. 클린 코드 작성
클린 코드(Clean Code)란 읽기 쉽고 유지보수하기 쉬운 코드를 의미한다. 코드는 개발자뿐만 아니라 팀원, 미래의 유지보수 담당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가독성이 높은 코드 작성
아래 두 코드를 비교해 보자.
가독성이 낮은 코드 예시
int f(int a, int b) { return a * b - (a + b); }
이 함수는 a와 b를 받아 연산을 수행하지만, 이 코드만 봐서는 어떤 의미인지 알기 어렵다.
가독성이 높은 코드 예시
int calculate_discount(int price, int discount_rate) { return price * discount_rate - (price + discount_rate); }
이 코드에서는 함수명을 calculate_discount로 변경하여 의미를 명확히 했다. 또한 변수명을 price와 discount_rate로 수정하여 코드를 읽는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일관된 코딩 스타일 유지
코딩 스타일이 일관되지 않으면 유지보수가 어려워진다. 팀 내에서는 다음과 같은 스타일 가이드를 정하고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 네이밍 규칙 통일 (CamelCase, snake_case 등)
- 들여쓰기 및 공백 컨벤션 준수
- 일관된 주석 스타일 유지
C++에서는 Google C++ Style Guide, LLVM Coding Standards 등의 스타일 가이드를 참고할 수 있다.
2. SOLID 원칙: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설계 원칙
SOLID 원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의 핵심 원칙으로, 코드의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S: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SRP)
"클래스는 단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즉, 하나의 클래스는 한 가지 역할만 수행해야 한다.
잘못된 예시 (여러 책임을 가진 클래스)
class Report { public: void generateReport() { /* 보고서 생성 */ } void saveToFile() { /* 파일 저장 */ } };
이 클래스는 보고서를 생성하는 기능과 파일 저장 기능을 함께 담당하고 있다.
개선된 예시 (단일 책임 원칙 적용)
class ReportGenerator { public: void generateReport() { /* 보고서 생성 */ } }; class FileSaver { public: void saveToFile() { /* 파일 저장 */ } };
이제 ReportGenerator는 보고서 생성만 담당하고, FileSaver는 파일 저장만 담당하도록 분리했다.
O: 개방-폐쇄 원칙(Open-Closed Principle, OCP)
"코드는 확장에는 열려 있어야 하지만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
즉, 기존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개선된 예시 (OCP 적용: 다형성 활용)
class Shape { public: virtual void draw() = 0; // 순수 가상 함수 }; class Circle : public Shape { public: void draw() override { /* 원을 그리는 코드 */ } }; class Rectangle : public Shape { public: void draw() override { /* 사각형을 그리는 코드 */ } };
이제 Shape 클래스를 상속받아 새로운 도형 클래스를 추가할 수 있다. 기존 코드를 수정할 필요 없이 확장이 가능하다.
L: 리스코프 치환 원칙(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LSP)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를 대체할 수 있어야 한다."
개선된 예시 (LSP 준수: 상속 구조 수정)
class Bird { public: virtual void move() = 0; }; class FlyingBird : public Bird { public: void move() override { /* 하늘을 날아감 */ } }; class Penguin : public Bird { public: void move() override { /* 헤엄침 */ } };
I: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ISP)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메서드에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
잘못된 예시 (인터페이스가 너무 큼)
class Worker { public: virtual void work() = 0; virtual void eat() = 0; };
개선된 예시 (인터페이스 분리)
class Workable { public: virtual void work() = 0; }; class Eatable { public: virtual void eat() = 0; };
D: 의존성 역전 원칙(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DIP)
"고수준 모듈은 저수준 모듈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
잘못된 예시 (구체적인 클래스에 의존함)
class Light { public: void turnOn() {} }; class Switch { Light light; public: void operate() { light.turnOn(); } };
개선된 예시 (DIP 적용)
class Switchable { public: virtual void turnOn() = 0; }; class Light : public Switchable { public: void turnOn() override {} }; class Switch { Switchable& device; public: Switch(Switchable& d) : device(d) {} void operate() { device.turnOn(); } };
3. 디자인 패턴 활용
디자인 패턴은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소프트웨어 설계 문제를 해결하는 템플릿이다.
마무리
제품 수준의 C++ 코딩에서는 가독성 높은 코드 작성, SOLID 원칙 적용, 디자인 패턴 활용이 중요하다. 이러한 원칙을 따르면 유지보수하기 쉬운 코드를 만들 수 있으며, 팀 개발에서도 효율적인 협업이 가능하다.
728x90'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스마트 포인터(Smart Pointer) 이해하기 (0) 2025.03.02 고급 문법과 최적화 (0) 2025.03.02 C++ 구조체 vs 클래스: 차이점과 올바른 활용법 (0) 2025.02.24 Modern C++ (0) 2025.02.06 C++ 네트워크 프로그래밍과 소켓 통신 (0) 2025.02.04